Python/개인 공부

[BOJ] 1075번 나누기 파이썬 사용 풀이 - 문자열 슬라이싱

Bueong_E 2023. 3. 26. 12:31
반응형
SMALL

 

 

# 목표 숫자 문자열 타입으로 받기
n = input()
#나눌 숫자 int 타입으로 받기
f = int(input())
#문자열로 받은 목표 숫자의 뒤에서 세번째 문자 까지 슬라이싱 후 00을 붙여 정수 변환
a = int(n[:-2] + '00')
# while 문 사용시 명시적으로 () 안에 조건을 넣어줘도 되고 아니면 그냥 써도 된다.
while True:
    if a % f == 0:
        break
    a += 1
#출력시 정수타입 a변수를 문자열로 변환 후 뒤에서 두번째 문자 까지만 출력
print(str(a)[-2:])

 

새로 배운 부분

 

-파이썬의 while 문-

 

명시적으로 소괄호 ()  안에 조건을 넣어줘도 되고 그냥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파이썬의 자료 타입 변환-

 

정수타입으로 변환 : int()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 str()

 

-파이썬의 문자열 슬라이싱 -

 

[-2:]는 문자열에서 뒤에서 두번째 문자부터 문자열 끝까지 슬라이싱하는 것이고, [:-2]는 문자열 처음부터 뒤에서 세번째 문자까지 슬라이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hello world' 가 있다면

[-2:]를 사용하면 "ld"를 반환
[:-2]를 사용하면 "hello wor"를 반환

조금 헷갈리수 있겠는데 단순히 : 를 문자열 이라 생각하고 :-2 는 본문에서 뒤에서 2문자 빼기 -2: 는 본문의 뒤에서 두문자 뺀 나머지 라고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울 듯 하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