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정수형
a = 1000
#출력
print (a)
#음수
a = -7
print(a)
#0
a = 0
#실수형
#양의 실수
a = 157.93
print(a)
#음의 실수
a = -1837.2
print(a)
#소수부가 0일때 0을 생략
a = 5.
print(a)
#정수부가 0 일때 0을 생략가능
a = -.5
print(a)
#10억 지수 표현
a = 1e9
print(a)
#752.5
a = 75.25e1
print(a)
#3.954
a = 3954e-3
print(a)
a = 0.3 + 0.6
print(a)
if a == 0.9 :
print(True)
else :
print(False)
#round 함수의 인자를 하나만 넣을 경우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print(round(a,4))
if round(a,4) == 0.9 :
print(True)
else :
print(False)
#수 자료형 연산
a = 7
b = 3
#나누기
print(a/b)
#나머지
print(a%b)
#몫
print(a // b)
#거듭연산자 == 제곱
print(a ** b)
#리스트
a = [1,2,3,4,5,6,7,8,9]
print(a)
#인덱스 4 요소에 접근
print(a[4])
#빈 리스트 선언방법
a = list()
print(a)
#또는
a = []
print(a)
#빈 리스트 초기화 방법
n = 10
a = [0]*n
print(a)
#리스트 인덱싱 & 슬라이싱
a = [1,2,3,4,5,6,7,8,9]
#뒤에서 첫번째 요소 출력 (마지막 요소 출력)
print(a[-1])
#뒤에서 세번째 원소 출력
print(a[-3])
#네번째 원소 값 변경
a[3] = 7
print(a)
#슬라이싱
a = [1,2,3,4,5,6,7,8,9]
#두 번째 원소부터 네 번째 원소까지
print(a[1:4])
#리스트 컴프리헨션 == 반복문을 이용한 리스트 초기화
#0부터 19까지의 수 중 홀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만들기
array = [i for i in range(20) if i % 2 == 1]
print(array)
#0 부터 20 까지의 수 중 짝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만들기
array = [i for i in range(21) if i % 2 == 0]
print(array)
#1 부터 9 까지의 수 중 제곱 값을 포함하는 리스트 만들기
array = [i*i for i in range(1,10)]
print(array)
#2차원 리스트 초기화 (컴프리헨션 사용)
n = 3
m = 4
# 언더바 띄우고 in 주의 할것
array = [[0] * m for _ in range(n)]
print(array)
# 파이썬에선 for문을 돌릴떄 변수생략이 가능하다 (아래 예시)
for _ in range(5) :
print('Hello World!')
#혹은 1부터 10까지 더하기
n = 0
for i in range(1,11):
n += i
print(n)
생각보다 정말 편리한 메서드도 많고 무엇보다 ; 으로 문장을 끝내지 않아도 되고 타입을 따로 선언하지 않아도 (심지어 배열까지!) 정말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언어인듯하다.
또 for문이나 if 문의 경우에도 C#과는 다르게 특수문자를 많이 사용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었다 (다만 그만큼 규격화를 띄어쓰기에 할당한 느낌이 강해 생각보다 적응하는데는 시간이 걸릴듯하다)
우선 정수형 문제들의 경우 문제없이 풀수 있을듯하다.
추가적으로 배열을 초기화 하는 방식은 필드에 선언만으로 초기화 되는 C#이 좀 더 편한 감이 있다.
(하지만 지역 변수의 초기화의 경우 확실히 for 문을 사용하여 초기화하는 기능이 기본 내장 되어 있는건 정말 편리한듯하다)
결과 출력창에 주석을 다음부터는 띄워 주어야 겠다 (보기 생각보다 불편하다;;)
반응형
LIST
'Python > 개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백준 11720번 숫자의 합 (0) | 2023.03.27 |
---|---|
[BOJ] 1075번 나누기 파이썬 사용 풀이 - 문자열 슬라이싱 (0) | 2023.03.26 |
[BOJ] 1476번 날짜 계산 파이썬 사용 풀이 (0) | 2023.03.26 |
[BOJ] 7568번 덩치 파이썬 풀이 & C# 사용 풀이 (0) | 2023.03.26 |
[BOJ] 4375번 "1" 파이썬 풀이 (0) | 2023.03.24 |